하나.
서울대학교-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LMO 교육 안내
서울대학교 -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공동주최
"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에 따른 사회경제적 고려"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안내
□ 주관 :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
□ 주최 : 서울대학교, 생명회의
□ 일시 : 2008년 12월 5일(금) 오후 2시-오후 3시 30분(1시간 30분)
□ 장소 :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농업생명과학대학 75-1동 204호
□ 약도 및 오시는 길 : 다음의 주소를 복사하여 주소창에 입력하여 주십시오.
http://sites.google.com/site/bioseoul/
□ 특강연사 :
1. 서석철 박사(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) - LMO의 현황 및 필요성
2. 윤여창 교수(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) - LMO의 이동시 고려해야 할 사회경제적 영향
□ 프로그램 취지
국내에서 용어적으로 GMO(Genetically Modified Organism)와 혼용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(Living Modified Organism, LMO)는 환경단체와 소비자단체들의 관심을 넘어 범국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. 이는 LMO가 우리사회와 국민에게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들 때문인데요, 이러한 국민의 우려를 줄이고 LMO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2008년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‘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(LMO법)’을 시행하고 있고 농진청 등 국가기관에서는 보다 안전한 LMO 개발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.
그러나 LMO와 관련된 이슈에는 ‘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’ 문제뿐만 아니라 ‘LMO가 우리의 사회 및 경제에 미칠 수 있는 2차적인 파급 효과’ 라는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. 즉 LMO가 도입됨에 따라 전통적인 가치관이나 문화가 붕괴되거나 LMO 종자에 대한 개발회사의 소유권 주장으로 우리 농어산촌 사회가 농어산업에 대한 작업통제권을 상실할 가능성 등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. 이에 한국생명공학원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에서는 서울대학교와 환경NGO인 ‘생명회의’와 함께, 일반국민들에게 본 이슈에 대한 정보와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.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□ 모집인원 : 100명
□ 신청방법 : bioseoul@paran.com 또는 016-9767-0094로 (성함, 소속, 연락처)를 이메일 또는 문자로 보내주십시오.
□ 주최 연락처 :
1.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박사과정 전정남 016-9767-0094, bioseoul@paran.com andrew78@snu.ac.kr
2.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윤여창 교수 02-880-4763 youn@snu.ac.kr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둘.
제8차 바이오안전성 세미나
유전자변형생물체, 그 효과적인 이용과 안전관리
* 일시 : 2008년 12월 5일(금) 10:00~18:00
* 장소 : 서울 센트럴시티 컨벤션센터 5층, 메이플홀
* 주최 : 한국생명공학연구원,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
* 후원 : 지식경제부, 교육과학기술부, 농림수산식품부, 보건복지가족부, 환경부, 국토해양부
**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~
서울대학교-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LMO 교육 안내
서울대학교 - 한국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공동주최
"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에 따른 사회경제적 고려" 전문가 양성 교육프로그램 안내
□ 주관 :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
□ 주최 : 서울대학교, 생명회의
□ 일시 : 2008년 12월 5일(금) 오후 2시-오후 3시 30분(1시간 30분)
□ 장소 :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 농업생명과학대학 75-1동 204호
□ 약도 및 오시는 길 : 다음의 주소를 복사하여 주소창에 입력하여 주십시오.
http://sites.google.com/site/bioseoul/
□ 특강연사 :
1. 서석철 박사(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) - LMO의 현황 및 필요성
2. 윤여창 교수(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) - LMO의 이동시 고려해야 할 사회경제적 영향
□ 프로그램 취지
국내에서 용어적으로 GMO(Genetically Modified Organism)와 혼용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(Living Modified Organism, LMO)는 환경단체와 소비자단체들의 관심을 넘어 범국가적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. 이는 LMO가 우리사회와 국민에게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영향들 때문인데요, 이러한 국민의 우려를 줄이고 LMO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2008년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‘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(LMO법)’을 시행하고 있고 농진청 등 국가기관에서는 보다 안전한 LMO 개발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.
그러나 LMO와 관련된 이슈에는 ‘인체 및 환경에 대한 안전성’ 문제뿐만 아니라 ‘LMO가 우리의 사회 및 경제에 미칠 수 있는 2차적인 파급 효과’ 라는 중요한 문제가 있습니다. 즉 LMO가 도입됨에 따라 전통적인 가치관이나 문화가 붕괴되거나 LMO 종자에 대한 개발회사의 소유권 주장으로 우리 농어산촌 사회가 농어산업에 대한 작업통제권을 상실할 가능성 등의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. 이에 한국생명공학원구원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에서는 서울대학교와 환경NGO인 ‘생명회의’와 함께, 일반국민들에게 본 이슈에 대한 정보와 인식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와 같은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였습니다. 많은 분들의 참여를 부탁드립니다.
□ 모집인원 : 100명
□ 신청방법 : bioseoul@paran.com 또는 016-9767-0094로 (성함, 소속, 연락처)를 이메일 또는 문자로 보내주십시오.
□ 주최 연락처 :
1.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박사과정 전정남 016-9767-0094, bioseoul@paran.com andrew78@snu.ac.kr
2.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윤여창 교수 02-880-4763 youn@snu.ac.kr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둘.
제8차 바이오안전성 세미나
유전자변형생물체, 그 효과적인 이용과 안전관리
* 일시 : 2008년 12월 5일(금) 10:00~18:00
* 장소 : 서울 센트럴시티 컨벤션센터 5층, 메이플홀
* 주최 : 한국생명공학연구원,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
* 후원 : 지식경제부, 교육과학기술부, 농림수산식품부, 보건복지가족부, 환경부, 국토해양부
**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~